STEP 01

주제

웹툰 연령등급 분류 기준 중 ‘주제’에 관련된 자가진단 문항입니다.

작품의 구체적 표현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작품이 다루는 주제와 작품에서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유해성있는 소재를 어떤 가치관으로 다루고 있는지를 통해 등급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 1-1

    어린이들의 인격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 1-2

    작품의 주제의식을 드러내기 위해 범죄, 폭력, 사회의 부정적 현실, 패륜, 원조교제, 학대, 자살 등의 소재를 지속적이지 않거나 구체적이지 않게 다루고 있다.

  • 1-3

    작품의 주제의식을 드러내기 위해 범죄, 폭력, 사회의 부정적 현실, 패륜, 원조교제, 학대, 자살 등의 소재를 지속적이고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STEP 02

폭력성

웹툰 연령등급분류 기준 중 ‘폭력성’에 관련된 자가진단 문항입니다.

작품에 드러난 사실적 또는 비사실적 폭력이 얼마나 잦은 빈도로 표현되었는지를 통해 등급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사실체
일반적으로 극화체라고 부르며, 실제 사람의 등신 비율과 사실적 묘사가 특징인 그림 스타일 (예: <송곳>, <미생>)
비사실체
일반적으로 만화체, SD체라고 부르며, 만화적으로 과장된 묘사가 특징인 그림 스타일 (예: <신과 함께>. <마음의 소리>)
  • 2-1

    비사실체 캐릭터의 신체 부위, 도구 등을 이용한 물리적 폭력과 상해, 유혈, 신체훼손 등의 표현이 비사실적으로 묘사되었다.

  • 2-2

    사실체 캐릭터의 신체 부위, 도구 등을 이용한 물리적 폭력이 없거나 매우 경미하게 묘사되었다.

  • 2-3

    상해, 유혈, 신체훼손 등이 강조되지 않고 빈도가 낮게 표현되었다.

  • 2-4

    성폭력이 전체 맥락상 암시적으로 표현되었다.

  • 2-5

    신체 부위, 도구 등을 이용한 물리적 폭력과 학대, 살상 등이 지속적이지 않거나 구체적이지 않게 묘사되었다.

  • 2-6

    비사실적으로 묘사된 그림스타일에서 신체 부위, 도구 등을 이용한 물리적 폭력과 학대, 살상 등이 구체적이고 지속적으로 표현되어 폭력을 정당화하고 모방위험이 있다.

  • 2-7

    비사실적으로 묘사된 그림스타일에서 상해, 유혈, 신체훼손 등이 직접적으로 묘사되었다.

  • 2-8

    상해, 유혈, 신체훼손을 동반하는 신체 부위, 도구 등을 이용한 물리적 폭력과 학대, 살상 등이 구체적이고 지속적이며 노골적으로 표현되었다.

  • 2-9

    성폭력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표현되었다.

STEP 03

선정성

웹툰 연령등급분류 기준 중 ‘선정성’에 관련된 자가진단 문항입니다.

신체 노출, 성적 행위 등을 묘사한 수위와 표현 빈도 등을 통해 등급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 3-1

    전체 맥락상 예술, 과학, 교육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자연스러운 신체 노출이 표현되었다.

  • 3-2

    성적인 내용과 무관하며 전체 맥락상 자연스러운 신체 노출만 표현되었다.

  • 3-3

    일상생활 속에서의 자연스러운 애정 표현 수준으로 묘사되었다.

  • 3-4

    가벼운 수준의 성적 내용과 신체 노출이 자극적이지 않고 간결하게 표현되었다.

  • 3-5

    성적인 내용과 신체 노출이 표현되어 선정적인 측면이 있으나 자극적, 지속적, 구체적이지 않게 표현되었다.

  • 3-6

    성적 행위가 있음을 암시하나 자극적, 구체적, 지속적, 직접적으로 표현되지 않았다.

  • 3-7

    성적인 내용과 신체 노출이 자극적, 구체적, 직접적으로 표현되었다.

STEP 04

언어

웹툰 연령등급분류 기준 중 ‘언어’에 관련된 자가진단 문항입니다.

대사와 내레이션 등에 폭력, 차별, 비하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통해 등급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 4-1

    경미한 수준의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되어 있고, 가족이나 타인과의 인간관계 또는 일반적인 교육과정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경미한 수준의 언어 폭력이 포함되어 있다.

  • 4-2

    비속어, 욕설 등이 반복·지속적으로 등장하지 않아 언어 폭력의 요소가 과도하지 않다.

  • 4-3

    차별, 비하, 인권 침해적인 언어가 포함되어 있어 언어 폭력적 요소가 있다.

  • 4-4

    자극적이고 혐오스러운 성적 표현과 정서적, 인격적 모욕감과 수치심을 유발하는 비속어와 욕설 등이 반복·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STEP 05

약물

웹툰 연령등급분류 기준 중 ‘약물’에 관련된 자가진단 문항입니다.

음주, 흡연, 마약 표현이 어떤 빈도와 가치관으로 표현되었는지를 통해 등급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 5-1

    음주·흡연 장면이 없거나 전체 맥락상 매우 낮은 빈도로 표현되었다.(미성년자의 음주·흡연 장면이 표현되지 않았다.)

  • 5-2

    약물, 향정신성 의약품, 기타 유해물질 등은 전체 맥락상 꼭 필요한 경우에만 간헐적으로 등장하고 간결하게 표현되었다.

  • 5-3

    음주·흡연 장면이 반복·지속적으로 표현되지 않았다. (전체 맥락상 불가피한 경우에 한해 미성년자의 음주·흡연 장면이 간결하게 표현되었다.)

  • 5-4

    약물, 향정신성 의약품, 기타 유해물질 등을 오남용하는 장면이나 마약 등 불법 약물을 이용하는 장면이 구체적, 사실적으로 표현되지 않았다.

  • 5-5

    음주·흡연 장면이 반복·지속적으로 표현되었다.

  • 5-6

    약물 사용이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표현되었다.

  • 5-7

    약물, 향정신성 의약품, 기타 유해물질 오남용, 마약 등의 불법약물을 이용하는 장면이 구체적·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STEP 06

사행성

웹툰 연령등급분류 기준 중 ‘사행성’에 관련된 자가진단 문항입니다.

도박, 투기 등 사행심을 조장하고 선동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는지를 통해 등급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 6-1

    실제 통화 대신 물건이나 기타 합법적인 보상을 걸고 내기하는 장면이 없거나 있더라도 비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 6-2

    실제 통화를 이용하지만, 법적으로 허가된 시설(카지노 등)에서 도박하는 장면이 없거나 있더라도 경미하게 비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 6-3

    유가증권 및 파생상품 같은 유동성 자산이나 가상화폐, 부동산 등을 이용해 시세차익을 얻는 장면이 없거나 경미하게 있더라도 비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 6-4

    실제 통화를 이용하지만 친목을 목적으로 하는 도박 장면이 간혹 포함되었다.

  • 6-5

    실제 통화를 이용하거나 목숨 등을 걸고 불법 도박이나 내기를 하는 장면이 경미하게 낮은 빈도로 등장하거나 혹은 비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 6-6

    실제 통화를 이용하지만 법적으로 허가된 시설(카지노)에서 도박하는 장면이 등장하고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 6-7

    유가증권, 파생상품 같은 유동성 자산, 가상화폐와 부동산 등을 이용해 시세차익을 얻는 장면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 6-8

    실제 통화를 이용하거나 목숨 등을 걸고 불법 도박이나 내기를 하는 묘사가 주제와 연관되어 지속적, 구체적으로 표현되었다.

  • 6-9

    유가증권, 파생상품 같은 유동성 자산과 가상화폐, 부동산 등을 이용해 시세차익을 얻는 장면이 주제와 연관되어 지속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되었다.

  • 6-10

    실제 통화나 목숨 등을 걸고 벌이는 불법 사기도박 장면이 주제와 연관되어 지속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되거나 미화되었다.

  • 6-11

    불법적인 방법으로 유가증권, 파생상품 같은 유동성 자산과 가상화폐, 부동산을 이용해 시세차익을 얻는 장면이 주제와 연관되어 지속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되거나 미화되었다.

STEP 07

모방위험

웹툰 연령등급분류 기준 중 ‘모방위험’에 관련된 자가진단 문항입니다.

사기 및 폭력 범죄, 따돌림과 괴롭힘, 규제약물 제조 거래, 장기매매, 자해, 자살 등이 따라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묘사되었는지를 통해 등급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 7-1

    어린이 대상 학교 내 집단폭력이나 따돌림, 비행행위 등의 표현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정당화되지 않고, 사실적이지 않거나 간접적이거나 암시적으로 표현되었다.

  • 7-2

    음주, 규제 약물, 자해 및 자살 등이 전체적인 맥락상 필요한 경우에 정당화되지 않고, 사실적이지 않거나 간접적이거나 암시적으로 표현되었다.

  • 7-3

    범죄 수단과 흉기의 사용방법 등과 관련된 표현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정당화되지 않고, 사실적이지 않거나 간접적이거나 암시적으로 표현되었다.

  • 7-4

    기타(성매매 알선 및 불법 사립탐정, 용역 고용) 모방위험의 요소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사실적이지 않거나 간접적이거나 암시적으로 표현되었다.

  • 7-5

    학교 내 집단폭력이나 따돌림, 비행행위 등이 정당화되거나 미화되지 않게 표현되었다.

  • 7-6

    규제 약물, 자해 및 자살 등이 묘사되어 있으나, 조장하거나 반복적으로는 표현되지 않았다.

  • 7-7

    범죄 수단과 흉기의 사용방법 등과 관련된 표현이 묘사되었다.

  • 7-8

    기타(성매매 알선 및 불법 사립탐정, 용역 고용) 모방위험의 요소가 반복적으로 표현되지 않았다.

  • 7-9

    학교 내 집단폭력이나 따돌림, 비행행위 등이 구체적이고 반복적으로 표현되었다.

  • 7-10

    규제 약물, 자해 및 자살 등이 사실적이고 반복적으로 표현되었다.

  • 7-11

    범죄 수단과 흉기의 사용방법 등과 관련된 표현이 사실적으로 상세하게 묘사되었다.

  • 7-12

    기타(성매매 알선 및 불법 사립탐정, 용역 고용) 모방위험의 요소가 구체적이거나 반복적으로 표현되었다.

STEP 08

차별

웹툰 연령등급분류 기준 중 ‘차별’에 관련된 자가진단 문항입니다.

종교, 성별, 성적 지향성, 인종, 민족, 장애, 직업에 대한 비하적이거나 차별적인 내용, 악의적이고 편견을 조장 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통해 등급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 8-1

    차별적 내용이 전혀 없거나, 명백히 차별을 부정하기 위한 경우에 한해 교육적, 역사적 맥락에서 종교, 성별, 성적 지향성, 인종, 민족, 장애, 직업과 관련된 비하적이거나 차별적인 대사나 행위가 경미하게 포함되었다.

  • 8-2

    작품 내에서 명백한 잘못으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 한해 종교, 성별, 성적 지향성, 인종, 민족, 장애, 직업과 관련한 과격한 비하적이고 차별적인 대사나 행위가 포함되었다.

  • 8-3

    명백하지는 않지만 작품 주제와 맥락상 차별을 미화하거나 지지하지 않는 방식으로 종교, 성별, 성적 지향성, 인종, 민족, 장애, 직업과 관련된 비하적이고 차별적인 대사나 행위가 포함되었다.

웹툰 연령등급분류

자가진단결과

귀하의 웹툰 연령등급분류 등급은
15+로 진단되었습니다.

  • STEP 01

    주제

  • STEP 02

    폭력

  • STEP 03

    선정성

  • STEP 04

    언어

  • STEP 05

    약물

  • STEP 06

    사행성

  • STEP 07

    모방위험

  • STEP 08

    차별